ETC/기타

학점은행제 학점인정신청 하는 방법, 기간, 서류, 비용 줄이는 팁

내가 그린 코딩 그림 2023. 2. 14. 08:38
반응형

이번에 학점은행제 학점인정신청을 하게 되었습니다. 학점은행제는 행정절차(학습자등록, 학점인정신청, 학위신청)과 수업을 듣는과정이 각각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평가인증된 학점은행제 평생교육원 이렇게 나눠지다보니 헷갈릴 수 있을 것 같은데 수강신청과 과목수료를 제외한 모든 행정처리는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 담당합니다.

 

학점은행제 학점인정신청 하는 방법, 기간

학점은행제 학점인정 신청은 학점은행제로 이수한 수업의 학점, 학점인정 되는 자격증, 독학사 시험 합격과목, 전적대 이수학점 등을 학점은행제 학점으로 정식 인정신청을 하는 행정 절차입니다.

 

1년에 4번 존재하며 기간은 아래와 같습니다(하루 이틀 차이는 있을 수 있습니다.)

  • 12월 15일 ~ 1월 31일
  • 4월 1일 ~ 4월 30일
  • 6월 15일 ~ 7월 31일
  • 10월 1일 ~ 10월 31일

 

비용은 1학점 당 1천원을 수수료로 내야하며, 일반 학점이 많은 분들은 비용을 조금이나마 아낄 수 있고 방법은 아래에서 설명하겠습니다.

 

 

학점은행제 학점인정신청 하는 방법

학점은행제 사이트 접속 및 로그인 -> 학점인정신청

 

메인 | 학점은행

학점은행제 학습자등록 및 학점인정을 위한 개인정보 및 고유식별정보 수집·이용, 제3자 제공 동의서 학점은행제 학습자등록 및 학점인정을 위한 개인정보 및 고유식별정보 수집·이용, 제3자

www.cb.or.kr

아래 사진에 보이는 것과 같이 학점인정신청이 가능합니다.

평가인정 학습과정 - 실제로 학점은행제에서 수강한 과목

독학학위제 - 독학사 시험에 통과한 과목

자격 - 자격증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학점

학점인정 대상학교 - 전적대에서 이수한 학점 신청

시간제 등록과정 - 사이버대와 같은 곳에서 주관하는 시간제 등록과정을 이수한 경우

여기서 매우 귀찮긴한데 저는 해당 사이트에서 학점인정이 어떻게 될지 학습설계를 한 적이 있어 해당하는 설계를 가져왔습니다. 하지만 어떻게 하더라도 결국 한 과목씩 스스로 등록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보통 2~3학점씩 하기 때문에 본인이 이수한 과목들 중 학점인정을 시킬 과목들은 모두 학점인정 신청을 해주시면 됩니다.

학점은행제 학점인정신청 비용 줄이는 팁

여기서 비용을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습니다. 만약 본인이 학점인정 신청하는 과목들 기준으로 일반학점이 50학점이 넘어간다면 최대한 50학점에 가깝게 맞춰서 수수료를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120학점을 이수했지만 20학점 가량은 날려서 학점인정을 시키면서 2만원 가량 수수료를 절감했습니다.

 

이렇게 확실하게 비용측정을 하고 싶다면 저처럼 미리 학습설계를 통해 학점인정이 얼마나, 어떻게 될지 해놓으시는걸 추천드리고 귀찮으신 분들은 그냥 전 과목을 신청하시는걸 권장드립니다. 계산하는게 은근 귀찮습니다.

저는 전적대학 학점 말고는 현재 시점에서 크게 신청할 것이 없어 하지는 않았습니다. 만약 학점은행제로 이수한 과목이 있다면 평가인정 학습과정 메뉴에서 확인이 되실겁니다.

자격증은 자동으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자격번호로 등록해서 조회해야 확인이 가능합니다.

신청이 다 끝나게 되면 아래와 같이 카톡으로 알림이 옵니다.

학점은행제 학점인정신청 하는 방법, 서류

마지막으로 신청해도 서류가 남았습니다. 학습자등록을 한 상태라면 성적증명서를 요구할 것이고 혹시 모르니 다른 서류를 요구하는 지 꼭 확인해주셔야 합니다.

 

마이페이지 -> 나의 접수현황 메뉴에 들어가시면 서류 확인이 가능하며 대부분의 경우 성적증명서를 우편으로 요구합니다. 서류 처리가 늦는 건지 저의 경우 1주일 전에 본원에 서류가 도착했을텐데 아직 처리가 안되어 있는걸로 봐서는 처리속도는 빠르지 않은 편 인듯 합니다.

 

 

 

 

학점은행제 전공 종류, 비용 최종 정리 (+싸게하는법)

최근에 학점은행제를 시작했고, 관련된 정보를 나름대로 많이 알고 있다고 생각해 학점은행제 관련해서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인터넷을 보면 다양한 내용들이 있지만 이 제도가 어려운 부분은

codingdodo.tistory.com

 

반응형